자유게시판
백년전 사진들
작성자 : 이동열
작성일 : 2006.03.01 14:31
조회수 : 966
본문
장승(1903년) 장승은 마을 어귀에 세워놓고 수호신으로 삼았으며
동시에 이정표 역할을 했다.
또한 장승 앞에서 병의 치유를 빌던 풍습이 있었다.
장승이 7개 사람도 7명으로 각자 기원하고 있다.
간절한 소망과 소원을 얻기 위해선 굽어진 소나무로 된 것이 효험이 있다고 한다
신행길(1890년) 방금 시집으로 가려는 가마를 잡고
친정어머니는 딸에게 무엇인가 자상하게 알려주고 있다.
여자궁도대회(1910)
기생 소릿꾼(1900년) 지금의 가수
기생의 나들이 (1903년) 전속 가마꾼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신랑 신부의 상면(1903) 신랑의 가족들이 호기심으로 신부를 보고 있으나
신부의 가족들은 근심이 가득하다.
시집으로 가는 신부(1903) 가마를 탄 신부가 신랑 집으로 들어서고 있다.
구한말 결혼식(1903) 떠구지머리를 얹고 큰머리를 튼 후,
떠구지 댕기를 드리우고 큰 비녀를 꽂은 다음,
원삼을 받쳐 입고 혼례를 올리고 있다.
이 부부는 자식을 낳은 후 미국 선교사에 의해 결혼식을 거행하고 있다.
마을 장승(1900) 장승은 2개 세우는 법인데
마을 입구에 장승하나가 외로이 서있고 마을로 통과하는 전신주가 보인다.
다리미질(1900) 다리미질하는 이 여인은 의도적으로 젖가슴을 내놓고 있다.
이는 아들을 낳은 것을 자랑하기 위한 풍속이다.
다듬이질 하는 여인.
키질과 체질(1890) 우리여인들의 생활은 노동에 시달렸으며
곡식을 찧고 키로 까부리며 체질하여 밥과 죽을 쑤었다.
연자매(1900) 연자매는 맷돌을 소가 끌어 돌리게 하는 정미시설이다.
맷돌(1904) 콩이나 메밀등을 넣어 갈아주는 수동식 믹서기다.
돗자리 짜는 노인(1900) 돗자리 짜기란 많은 고르랫돌을 매달아 한 가닥씩 엮어 나가는 작업이다
기녀위문(1905) 노일전쟁 당시 기녀들이 일본군 막사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뒤쪽 천막에 일장기와 태극기가 그려져 있다.
토담쌓기(1905) 나무틀에 돌과 진흙을 혼합해서 쌓고, 사진촬영을 위해 잠시 휴식하고 있다
김개남(1894) 전봉준과 함께 동학농민을 이끌고 봉기했다
기중기 도구(1900) 무거운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도구로 성벽을 쌓는 돌 운반 역시 이런 방식으로 작업했다
여인의 가리개(1900) 여인이 왕골로 짠 가리개를 쓰고 나들이하다가 양손으로 가리개를 받쳐 외면하고 있다.
널뛰기(1920) 한말 때 여자가 바깥구경을 할 때에는 널을 뛰어 담장밖 세상을 구경했다.
장기(1890) 어린 소년처럼 보이나 초립을 쓴 것으로 보아 이미 장가든 모습이다.
한강여객선(1910)
남대문 전차 대기소(1919) 서울에 전차가 들어오면서
단발령 시행에 실패한 일본은 전차회사 직원들에게 상투를 자르게 했다
서양식 모자를 쓰게 하므로서 전차가 몰고 온 개혁 바람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바꾸어 놓고,
운전수는 강제로 일본식 제복을 입혔다. 백립을 쓰고 있는 것으로 보아 순헌(엄비)왕비 국상 시기이다.
서울의 전차(1903) 미국인 콜브란과 보스워크의 한성전기회사에 의해
1898년 12월 전기궤도 부설공사가 완공되었다.
준공 직후 소아 사고로 전차를 불태운 사건이 있었지만
각지로부터 전차를 타보기위해 서울로 몰려왔다.
정원은 40명이고, 중앙에는 양반이 이용하던 특실이 있었다.
마님 나들이(1907) 가마꾼이 마님을 태우고 포목점 거리를 지나고 있다
마포 나루터(1910) 많은 새우젖 장수가 있고 상권이 모여있는 선착장 주변이다.
서울도성까지 얼마 안떨어져 항상 많은 물량이 거래되고 인천으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용산-인천 배삯은 상등은 2원 하등은 70전이며 증기선이 운항되었다.
경인선 기차(1910) 기차를 타보기 위해 승객들이 객차에 오르느라 소란을 빚고 있다.
기차를 처음타본 승객들은 기차가 정지하기 전 뛰어내려 사고가 많았다.
소방대 발족(1920) 왼쪽 높은 망루에 서울시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고,
긴급을 알리는 종이 매달려 있다.
1904년 개화기의 졸업식 도포를 입고 갓을 쓴 두 훈장(선생님)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서있다
언더우드가 설립한 서당.
서당 풍경(1900) 장죽(긴 담뱃대)을 문 근엄한 훈장이 학생들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왼쪽에 공부를 못해 광에 갇힌 한 학생을 친구가 돌아앉아 위로하고 있다
인천 일어학교(1894) 한국인 교사와 도포입은 학생중앙에 일본인 교사도 보인다.
학동들의 야외학습(1904) 서당밖에 나와 야외학습을 하고 있는 광경.
서당풍경(1909) 훈장이 회초리를 들고 청마루에서 붓글씨를 감독하고 있다.
북간도 서당(1905) 어두운 방에서 플레쉬 없이 촬영한 것이 신기하고
모두 한결같이 눈을 크게 뜨고 있다.
이화학당(1910) 이화학당을 설립한 '서클랜드 부인'은 오른쪽에서 가사실습을 감독하고 있다.
앞줄에 신발이 잘 정돈되어 있는 것이 특색
여학교 실습(1910) 대구동산언덕에 있는 선교사 저택에서 실습 나온 신명여학생들이
소년들에게 주먹밥을 나눠주고 있다.
초등학교 운동부(1930) 대구 덕산초등학교 학생들이
일본식 씨름대회에서 우승한 뒤 기념 촬영중
동시에 이정표 역할을 했다.
또한 장승 앞에서 병의 치유를 빌던 풍습이 있었다.
장승이 7개 사람도 7명으로 각자 기원하고 있다.
간절한 소망과 소원을 얻기 위해선 굽어진 소나무로 된 것이 효험이 있다고 한다
신행길(1890년) 방금 시집으로 가려는 가마를 잡고
친정어머니는 딸에게 무엇인가 자상하게 알려주고 있다.
여자궁도대회(1910)
기생 소릿꾼(1900년) 지금의 가수
기생의 나들이 (1903년) 전속 가마꾼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신랑 신부의 상면(1903) 신랑의 가족들이 호기심으로 신부를 보고 있으나
신부의 가족들은 근심이 가득하다.
시집으로 가는 신부(1903) 가마를 탄 신부가 신랑 집으로 들어서고 있다.
구한말 결혼식(1903) 떠구지머리를 얹고 큰머리를 튼 후,
떠구지 댕기를 드리우고 큰 비녀를 꽂은 다음,
원삼을 받쳐 입고 혼례를 올리고 있다.
이 부부는 자식을 낳은 후 미국 선교사에 의해 결혼식을 거행하고 있다.
마을 장승(1900) 장승은 2개 세우는 법인데
마을 입구에 장승하나가 외로이 서있고 마을로 통과하는 전신주가 보인다.
다리미질(1900) 다리미질하는 이 여인은 의도적으로 젖가슴을 내놓고 있다.
이는 아들을 낳은 것을 자랑하기 위한 풍속이다.
다듬이질 하는 여인.
키질과 체질(1890) 우리여인들의 생활은 노동에 시달렸으며
곡식을 찧고 키로 까부리며 체질하여 밥과 죽을 쑤었다.
연자매(1900) 연자매는 맷돌을 소가 끌어 돌리게 하는 정미시설이다.
맷돌(1904) 콩이나 메밀등을 넣어 갈아주는 수동식 믹서기다.
돗자리 짜는 노인(1900) 돗자리 짜기란 많은 고르랫돌을 매달아 한 가닥씩 엮어 나가는 작업이다
기녀위문(1905) 노일전쟁 당시 기녀들이 일본군 막사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뒤쪽 천막에 일장기와 태극기가 그려져 있다.
토담쌓기(1905) 나무틀에 돌과 진흙을 혼합해서 쌓고, 사진촬영을 위해 잠시 휴식하고 있다
김개남(1894) 전봉준과 함께 동학농민을 이끌고 봉기했다
기중기 도구(1900) 무거운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도구로 성벽을 쌓는 돌 운반 역시 이런 방식으로 작업했다
여인의 가리개(1900) 여인이 왕골로 짠 가리개를 쓰고 나들이하다가 양손으로 가리개를 받쳐 외면하고 있다.
널뛰기(1920) 한말 때 여자가 바깥구경을 할 때에는 널을 뛰어 담장밖 세상을 구경했다.
장기(1890) 어린 소년처럼 보이나 초립을 쓴 것으로 보아 이미 장가든 모습이다.
한강여객선(1910)
남대문 전차 대기소(1919) 서울에 전차가 들어오면서
단발령 시행에 실패한 일본은 전차회사 직원들에게 상투를 자르게 했다
서양식 모자를 쓰게 하므로서 전차가 몰고 온 개혁 바람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바꾸어 놓고,
운전수는 강제로 일본식 제복을 입혔다. 백립을 쓰고 있는 것으로 보아 순헌(엄비)왕비 국상 시기이다.
서울의 전차(1903) 미국인 콜브란과 보스워크의 한성전기회사에 의해
1898년 12월 전기궤도 부설공사가 완공되었다.
준공 직후 소아 사고로 전차를 불태운 사건이 있었지만
각지로부터 전차를 타보기위해 서울로 몰려왔다.
정원은 40명이고, 중앙에는 양반이 이용하던 특실이 있었다.
마님 나들이(1907) 가마꾼이 마님을 태우고 포목점 거리를 지나고 있다
마포 나루터(1910) 많은 새우젖 장수가 있고 상권이 모여있는 선착장 주변이다.
서울도성까지 얼마 안떨어져 항상 많은 물량이 거래되고 인천으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용산-인천 배삯은 상등은 2원 하등은 70전이며 증기선이 운항되었다.
경인선 기차(1910) 기차를 타보기 위해 승객들이 객차에 오르느라 소란을 빚고 있다.
기차를 처음타본 승객들은 기차가 정지하기 전 뛰어내려 사고가 많았다.
소방대 발족(1920) 왼쪽 높은 망루에 서울시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고,
긴급을 알리는 종이 매달려 있다.
1904년 개화기의 졸업식 도포를 입고 갓을 쓴 두 훈장(선생님)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서있다
언더우드가 설립한 서당.
서당 풍경(1900) 장죽(긴 담뱃대)을 문 근엄한 훈장이 학생들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왼쪽에 공부를 못해 광에 갇힌 한 학생을 친구가 돌아앉아 위로하고 있다
인천 일어학교(1894) 한국인 교사와 도포입은 학생중앙에 일본인 교사도 보인다.
학동들의 야외학습(1904) 서당밖에 나와 야외학습을 하고 있는 광경.
서당풍경(1909) 훈장이 회초리를 들고 청마루에서 붓글씨를 감독하고 있다.
북간도 서당(1905) 어두운 방에서 플레쉬 없이 촬영한 것이 신기하고
모두 한결같이 눈을 크게 뜨고 있다.
이화학당(1910) 이화학당을 설립한 '서클랜드 부인'은 오른쪽에서 가사실습을 감독하고 있다.
앞줄에 신발이 잘 정돈되어 있는 것이 특색
여학교 실습(1910) 대구동산언덕에 있는 선교사 저택에서 실습 나온 신명여학생들이
소년들에게 주먹밥을 나눠주고 있다.
초등학교 운동부(1930) 대구 덕산초등학교 학생들이
일본식 씨름대회에서 우승한 뒤 기념 촬영중
댓글목록 0
이기호님의 댓글
사진구경, 잘 했읍니다. 이동열 후배님!
차안수님의 댓글
귀한 사진 잘 보았습니다..
이동열님의 댓글
사진중의 인천일어학교는 어디의 전신인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인고는 한성 외국어학교가 전신인데,,,
이성현님의 댓글
인일로 퍼 갑니다.좋아할거야 ㅎㅎㅎ
최송배님의 댓글
정말 귀한 사진들이군요. 잘 보았습니다.
태동철님의 댓글
나도 가마타고 장가 갔는데.. 추억이 새롭군요 망태 짜는것도 내가 해본것 연자매도 내가 해본것 전차도 내가 타본것 인천에서 한강 으로 장작 을 배에 실고 마포에서 팔아서
고무신 사갔는데... 와!! 너무 아련한 추억의 한 영상이여!! 내 컴에 보간 할려면 어떻게 하니요 ??? 참으로 수고 많았어요
이동열님의 댓글
태선배님 교례회때 뵙고 소주라도 한잔 올렸어야하는데,,죄송합니다. 이사진을 보관하시려면 필요한 사진 왼쪽모서리에 커서를 갖다 대면 네가지 창이 뜹니다.맨왼쪽칸이 이미지 저장이거든요. 그걸 누르면 저장할곳을 선택할수 있죠. 보통 내그림에 저장하고 제목을 달아주시면 됩니다.
이성현님의 댓글
한가지 더 daum 이나 아이러ㅡ스쿨에 집(홈페이지)을 만드시면 그 곳에 식구들 사진 등을 저장하시면 영원히 간직할 수 있지요.내 컴퓨터는 어떤때는 없어질 위험은 있습니다.
김종득님의 댓글
귀한 사진 잘 보았습니다
김기옥님의 댓글
참 귀한 사진 잘 보았습니다. 좋은 사진 많이 보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