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71회 김병종 서울대교수
작성자 : 최한규
작성일 : 2017.08.30 12:06
조회수 : 1,886
본문
“아내 유작 받아들고 가슴 먹먹… 사흘간 아무것도 못해
트랜드뉴스 보기
- 많이 본 뉴스
- 댓글이 핫한 뉴스
“빨갱이, 죽일 거다”…안민석, LA서 태극기 부대에 기습시위 당해
- 문재인 대통령 “그 많은 국방예산으로 뭘 했나”
文대통령 “강력한 대북 응징능력 과시하라” 지시…軍, 폭탄 8발 투하
美전문가 “北, 2차 한국전쟁 시작할 수 있어…현 상황 심각”
- 北에 열받은 문재인 대통령… NSC엔 참석 안해
- “장하성, 은퇴후 거주목적… 조국, 안 팔려서”
軍, 北도발 징후 미리 파악하고 무력시위까지 계획했다
- “北, 평양 일대서 동북 방향으로 탄도미사일 발사”…日 상공 통과
[광화문에서/이동영]범죄 경력이 훈장인가
박용진 “靑오찬 부실” 표현에 문재인 지지자들 “반찬투정” 뭇매
- 베스트 추천 뉴스
아내 정미경 소설가의 유작 출간한 김병종 서울대 교수

김병종 서울대 교수가 28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고 정미경 소설가의 유작 장편소설 ‘가수는 입을 다무네’를 품에 안고 있다.
뒤에 걸린 그림은 김 교수의 작품인 ‘생명의 노래’로 손을 꼭 잡고 춤추는 남녀가 보인다.
유명 화가인 김병종 서울대 동양화과 교수(64)는 ‘가수는 입을 다무네’(민음사·사진)를 손으로 가만가만 쓸어내리며 말했다. 간암 말기 선고를 받은 지 한 달 만인 올해 1월, 홀연히 세상을 떠난 아내 정미경 소설가(57)의 장편소설이다. 28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만난 그는 아내의 유작에서 한동안 눈을 떼지 못했다.

서울대 캠퍼스를 손잡고 산책하는 김병종 서울대 교수(오른쪽)와 생전 정미경 소설가. ⓒ이은주

“정 작가는 이상하다 싶을 정도로 이 책의 제목에 집착하고, 소설 속 문장을 고치기를 거듭했어요. 가수가 입을 다문다는 건 더 이상 노래할 수 없다는 걸 의미하는데, 돌이켜 보면 자신의 운명을 예감한 것 같아요.”
그는 아내를 평소 ‘정 작가’라고 불렀다. 서울대 동양화과에 재학 중이던 그는 한 잡지에 실린 아내(당시 이화여대 영문과 재학)의 소설을 읽고 편지를 보낸 것을 계기로 연인이 됐다. 대학가의 문학상을 휩쓸던 고인과 대학생 때 동아일보를 비롯해 신춘문예에 두 번이나 당선된 그가 주고받은 편지는 400여 통에 이른다. 아들 둘을 낳고 키우면서도 부부는 매일 아침 두 시간씩 문학, 그림, 건축, 철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예술적 동지였다.
“정서적 교류가 하루아침에 끊어진 게 가장 힘들어요. 시간의 축적을 느끼지 못하는 것도요…. 3, 4년 정도 만났다 헤어진 것 같아요. 내 의식은 이화여대 앞을 서성였던 그 시절을 맴돌고 있어요.”
그는 아내에게 최초의 독자이자 마지막 비평가가 되겠다고 한 약속을 성실하게 이행하지 못한 데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고 했다. 요즘 아내의 작품을 다시 꼼꼼하게 읽고 손으로 문장을 한 줄 한 줄 써 보며 문학적 자취를 되짚고 있다. 고인이 19년간 머물렀던 반지하 원룸 작업실에 쌓여 있던 처절한 고뇌의 흔적인 습작 원고 더미도 정리 중이다.
“정 작가에 대한 평전을 쓰고 있어요. 정 작가는 ‘나의 피투성이 연인’, ‘장밋빛 인생’, ‘이상한 슬픔의 원더랜드’ 등 치열하게 삶과 부딪쳐 깨지고 피 흘리면서도 삶에 대한 긍정의 물줄기를 담은 인물들처럼 살았어요.”
아내와 자신의 여행 에세이를 묶은 책도 준비하고 있다. 고인은 남녀 작가가 번갈아 가며 쓴 소설 ‘냉정과 열정 사이’처럼 층위가 다른 온도의 글을 담은 여행 에세이를 함께 내자고 제안했었다. 두 사람의 첫 만남부터 헤어질 때까지 찍은 사진에 글을 엮은 에세이도 출간하기로 했다. 이들 책 세 권은 고인의 1주기에 맞춰 선보일 예정이다. 유고 소설은 ‘목놓아 우네’를 포함해 두 권 더 출간된다. 1주기 행사는 글, 그림, 사진, 영상 등 장르를 가로지르는 형식으로 열 계획이다.
그는 고인의 글 더미를 정리할 때면 영혼으로 교감하는 것 같다고 했다.
“누군가가 책을 읽는 한 정 작가의 문학적 삶은 계속되잖아요. 문학인은 떠나도 떠난 게 아니라는 걸 깨달으며 스스로를 위로하고 있습니다.”
그의 얼굴이 희미하게 밝아지고 있었다. 빈방의 벽에 기대앉아 하염없이 울곤 하는 그가 조금씩 일어서고 있는 게 보이는 듯했다.
손효림 기자 aryssong@donga.com
“누군가가 책을 읽는 한 정 작가의 문학적 삶은 계속되잖아요. 문학인은 떠나도 떠난 게 아니라는 걸 깨달으며 스스로를 위로하고 있습니다.”
그의 얼굴이 희미하게 밝아지고 있었다. 빈방의 벽에 기대앉아 하염없이 울곤 하는 그가 조금씩 일어서고 있는 게 보이는 듯했다.
손효림 기자 aryssong@donga.com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