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오피니언
나채훈(65회)의 중국산책/인천 외에 ‘차이나타운’ 명칭을 자제하라 (퍼온글)
본문
퍼온곳 : 인천신문(12. 2.21)
나채훈의 중국산책 /
인천 외에 ‘차이나타운’ 명칭을 자제하라
/삼국지리더십연구소장
올 가을 중국의 최고권력자가 될 시진핑 국가부주석이 지난주 백악관을 방문했다. 중·미 양국 수뇌부는 양국간 현안과 글로벌 이슈, 지역문제 등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하고 양국 사이에 보다 증진된 우호관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 날의 만남은 현안에 대한 협의보다 서로를 배려하는 ‘맞선’에 더 많은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특히 오바마 미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에서 재선에 성공한다면 두 사람은 G2의 최고지도자로서 향후 4년간 세계질서를 좌우하게 된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가 있다는 해석이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그런데 이번 시진핑 국가부주석의 미국 방문에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이 있었다. 10년 전, 현 국가주석 후진타오가 권력을 물려받기 직전 미국을 방문했을 때에 비해서 파격적일 정도로 성대한 손님맞이가 행해졌다. 시진핑이 워싱턴 DC 근처의 앤드류 공군기지에 도착해 번스 미국무부 부장관의 영접을 받았고 키신저 전 국무장관을 비롯해 중국과의 수교 및 양국 관계에 관련된 인사들이 비공식적이지만 성대한 만찬을 열어 환대했다. 공식 일정이 시작되자 하루 동안에 미대통령과 부통령, 국무장관, 국방장관, 합참의장을 모두 만났으며 미 재계 인사들과도 만남을 가졌다. 이튿날 시진핑은 미의회를 방분해 상·하 양원의 주요 인사들을 만났고, 바이든 부통령과 함께 LA로 이동해서 미국 프로농구(NBA) 경기를 관람하는 등 대중적 친근감을 과시하기도 했다.
중국과 미국의 이런 변화를 보면서 한국과 중국과의 관계에서 서로를 헤아려보는 차이나타운의 갈등 문제가 떠올랐다. 지금 전국적으로 중국인 밀집지역이 곳곳에 생겨나고 있다. 지난해 9월 기준으로 국내 체류 중국인 숫자는 70만이 넘는다. 1년 전에 비해 20% 정도 늘어난 숫자다. 올해 안에 80만명은 쉽게 넘어서리라는 전망이다. 공식적으로 차이나타운이 인천 중구 선린동 일대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추진 중인 차이나타운이 전국적으로 10개가 넘는다. 특히 서울의 중국인 밀집지역 가운데 대표적인 곳은 약 4만명 정도가 거주하는 구로구 가리봉동 지역과 2만명 정도가 거주하는 영등포구 대림동, 관악구 봉천동 일대인데 2만명 가까운 중국인 거주지역으로 관심을 모은다. 이 지역에서 주민과 중국인의 갈등이 골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노상방뇨, 쓰레기더미, 고성방가, 부동산 가격 하락 등등 주민들의 민원이 그치지 않는다고 해당 지역의 관계자들이 전하는데 요는 이들 문제를 일으키는 중국인들 대부분이 조선족이라는데 더욱 심각성이 있다. 물론 개중에는 한족(漢族)들도 있으나 대부분이 조선족 출신들로 그들은 같은 동포끼리 운운하면서 더욱 거칠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2007년부터 방문취업제도가 실시되면서 일어난 현상인데 방문취업제도는 중국과 구소련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 국적의 동포에게 최장 3년의 체류자격을 주는 제도로 체류자격이 연장될 수 있어 조선족의 장기 체류가 가능해진데서 비롯되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2008년 서울 마포구 연남동은 ‘차이나타운 지정 반대’의 목소리가 커졌고, 주민대책위원회까지 결성되어 총선을 앞두고 출마자들에게 차이나타운 반대 입장을 공약하라는 압력까지 넣고 있다. 물론 해당 지역 주민들이 겪는 고통이나 입장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차이나타운’이라는 명칭에 대해서만큼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인천의 중구 선린동 일대를 비롯해 전국의 몇몇 지역은 130년 전 근대개항 시기에 들어온 중국인들을 중심으로 거리가 형성되었고 일제시대, 해방 후, 5.16 혁명 이후, 한중수교 등 역사의 큰 흐름 속에 휩쓸리면서도 자신들의 정체성과 문화를 잃지 않고 유지해온 덕분에 그나마 식당가를 중심으로 지역 상권을 형성하고 나름대로 지역발전에 이바지하며 주변의 한국인들과 돈독한 선린관계를 유지하면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역할하고 있다.
인천 중구의 경우는 머지않아 짜장면박물관을 개관하는 등 지역성을 바탕으로 좋은 결실을 맺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 정부도 중국의 지도층을 초청하여 ‘맞선’ 이상의 우호증진을 꾀할 일이고, 조선족 거주지역이라고 할 일이지 차이나타운 운운하는 일은 좀 자제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2012년 02월 21일 (화)
인천신문 i-today@itoday.co.kr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