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오피니언
원현린(75회) 칼럼/뇌물공화국 (퍼온글)
본문
퍼온곳 : 인천신문(10. 3.25)
/원현린 칼럼
뇌물공화국
조간신문을 펼치거나 TV를 켜면 온통 뇌물 소식이다. 뇌물이 횡행한다 함은 공무원들이 신분을 망각하고 황금에 눈이 멀었다는 얘기다. 이러고도 나라가 유지되는지 의심스럽다. ‘대한민국은 뇌물공화국이다’라는 사실이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는 대한민국 헌법1조①항을 부끄럽게 하고 있다.
희망의 계절이라는 봄이다. 이러한 봄날에 전해지는 뉴스는 연일 교육계의 비리 소식이다. 일선학교에서는 새 학기를 맞아 학교마다 새로이 교육과정을 준비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느라 분주하다. 교육청의 수장을 지낸 인사를 필두로 장학관, 장학사, 교장 등이 저지른 부정행위가 속속 드러나면서 교육기관의 위상이 말이 아니다. 만신창이가 됐다.
이들 정도의 신분이면 시민들로부터 존경을 받는 대상들이라 하겠다. 부정행위가 터질 때마다 시민들은 배신감을 느낀다. 인천의 한 초등학교는 교수학습비를 전용, 교장실을 호화판으로 꾸민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학생들에게 돌아가야 할 몫을 교장이 챙기는 것과 다르지 않다.
요즈음 교사들은 학생들 앞에 서기가 부끄럽다 한다. ‘참되어라’, ‘인간되어라’하고 어떻게 학생들을 가르칠 수가 있을까 하고 걱정이 앞선다는 것이 일선학교 한 교사가 털어 놓은 고충이다. 게다가 정치사회담당교사는 헌법강의도 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는 규정이 우리 헌법 제1조①항에 엄연히 명문화 돼 있다고.
교육감에게 교장 인사권이 전적으로 있었기에 항간에서는 새로운 사자성어가 생겨나기도 했다 한다. 감오장천(監五長千)이 그것이다. 인사를 앞두고 교육감 면담 시 승진하려하거나 하려면 교감은 500만원, 교장은 천 만 원은 건네야 한다는 의미라 한다. 사실여부를 떠나 요즈음 연이어 터지고 있는 교육계 비리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전혀 근거 없는 이야기만은 아닌 듯싶다.
교육청의 수장인 한 교육감이 비리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다. 교육계의 수장이나 장학관, 장학사, 교장 급 정도면 연령도 느긋한 세대다. 그들이 가르치고 길러낸 제자들 중에 경찰이나 검사, 판사, 변호사들이 있을게다. 제자로부터 조사를 받고 재판을 받고 제자에게 변호를 구하고 있다. 차마 만나지 않아야 할 곳에서 사제지간에 만나는 모양새다.
스승과 제자 사이다. 좋은 인연이다. 하지만 사람은 만나야 하는 곳에서 만나는 사람이 있고 만나지 않아야 하는 곳에서 만나는 사람이 있다. 만나는 사람은 연이 닿아 만나는 것이다. 사제지간에 법정에서 검찰과 피고인 신분으로 만나야 하는 아이러니가 현실로 일어나고 있다.
생각할수록 있어서는 안 되는 현상이 우리 앞에 현실로 나타났다. 부끄럽고 또 부끄럽다 하지 않을 수 없다. 교육자가 된 것이 부끄럽다는 한 원로 교육자의 한탄이다. 드러나는 비리사례는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감추어진 각종 부정사건은 그 종류와 양을 알 수가 없다고 봄이 옳을 듯하다. 뇌물공화국은 부실공화국일 수밖에 없다. 뇌물은 선진국으로 가는데 걸림돌이 된다. 한번 부패하면 다시 신선해지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마치 환경이 한번 망가지면 맑은 물이 흐르고 공기가 청정해지기까지 오랜 시일이 걸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국가는 국민권익위원회를 설치, 공직사회 부패를 예방하고 부패행위 규제를 통한 청렴한 공직사회풍토를 확립하겠다고 천명하고 있으나 좀처럼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오염된 국토를 후손에게 물려줄 수 없듯이 밝고 맑은 사회를 만들어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하겠다. 얼마 전 입적한 법정스님은 이를 염두에 둔 듯 나눔 문화를 강조하고 떠났다. 내 것이 아니면 터럭하나라도 취해서는 안 된다.
뇌물공화국으로는 결코 국격(國格)을 높일 수 없다. 국가 경쟁력이 없어 선진국은 더더욱 될 수 없다. 누차 강조하지만 세상이 아무리 혼탁해도 맑아야 할 부류가 있다. 그것은 종교계와 법조계 그리고 교육계가 그 곳이다.
ⓒ 인천신문(http://www.i-today.co.kr)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