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오피니언
민 충정공의 혈죽
본문
민충정공의 혈죽
민영환의 혈죽? 정말 신비롭지 않을 수 없습니다.
위의 영상을 보고 너무나 궁금하여 민영환에 대해 자료를 찾아보던중 아래와 같은 내용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민영환이 죽은곳에 솟아난 대나무가 보관된 사진>
忠正公 閔泳煥 (1861년철종 12∼1905년광무 9). 자는 문약(文若), 호는 계정(桂庭). 시호는 忠正, 본관은 여흥(驪興), 병조판서 민겸호의 아들. 1878년 고종 15년 문과에 급제. 미국 공사로 있다가 1896년 고종 33년 2월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례. 군부대신으로 있을 때 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오스트리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고 돌아와 신문명에 밝았으며, 처음으로 양복을 입어 사신으로 외국에 가는 사람의 변복이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귀국 후 參政에 올랐고 훈장조례를 처음으로 공포하였으며 사신으로 해외에 여러차례 나가서 공을 세워 훈 1등에 이르렀다.
외부·학부·탁지부 대신을 역임하여 나라의 운명을 바로 잡으려 분투하였으나 독립당을 옹호한다는 이유로 대신의 자리에서 밀려났다.
왕의 시종무관장으로 있을 때 을사조약이 체결되어 나라를 일본에게 빼앗기는 형세에 이르니, 우정대신 조병세와 함께 조약의 폐기를 상소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으며, 1905년 11월 4일 새벽 국민과 각국 공사에게 고하는 유서를 남기고 단도로 자살하였다.
뒤에 시호와 함께 영의정을 받았다.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을 받았다.
위 유품 血竹은 충정공이 자결을 한 자리에서 피어난 대나무의 잎을 보기 위해 사람들이 몰려들자 일제가 베어내려 했으나 부인이 따로 보존하여 오다, 충정공의 종손인 민병기씨가 조모로부터 물려받은 유품들을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민영환의 혈죽과 관련되는 자료 내용
민영환이 자결하고 8개월이 지나자, 피묻은 옷을 간직한 방에서 청죽이 솟아올라 인심이 술렁이자 일제 날조. |
민영환이 죽고나자 솟아오른 대나무를 혈죽이라 칭하였으며 이 사건을 두고 '민영환의 혈죽'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더욱 기이한 것은 민족종교 증산도 경전인 '증산도 도전'에도 민영환과 관련되는 기록이 남아있을 줄이야.
아래의 내용은, 100년전에 오신 증산상제님께서 민영환 사건에 대해 하신말씀입니다.
나는 추상같은 절개와 태양같이 뜨거운 忠義를 사랑하노라. (道典 4편 13장)
하루는 한 성도가 여쭈기를 "민영환이 나라를 위하여 자결하였는데, 푸른 피가 나오고 그 자리에서 즉시 靑竹이 생겨났다 하니 이는 어떤 연고입니까..??" 하니,
을사년 9월 함열 회선동에 계실 때 하루는 글을 쓰시니 이러하니라.
|
민영환 사건도 정말 신비하지 않을 수 없지만, 증산상제님의 말씀도 더욱 큰 의미로 다가오는 군요.
어쨋거나 민영환은 충의로 가득한 인물이었다는 것은 사실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아래는 민영환의 유서입니다.
이천만 동포에게 드림(민영환 유서)
|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