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120년의 기록" (1) 도시의 태동(1883∼1945년)
|
격세지감(隔世之感). 인천은 지난 100여년의 세월동안 엄청난 진보·변화를 겪어 이제는 딴 세상처럼 여겨진다.
한적한 어촌에서 이제는 동북아의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용틀임이 한창이다.
그동안 인천개항과 한국전쟁 복구, 대단위 매립, 도시정비사업 등으로 시대별 변화의 모습이 뚜렷하다.
인천시는 인천발전연구원 도움으로 지난 1883년 제물포항 개항 이후부터 지금까지 120여년 동안
도시계획 변천사를 책으로 엮었다. 꼭 2년여어 걸친 고단한 작업이었다.
여기에는 옛날 희귀사진·그림에서 부터 도시계획 연혁·고시목록 등이 총 망라돼 있다.
시는 소중한 과거를 바탕으로 희망찬 미래를 펼쳐 보겠다는 계획이다.
인천일보는 새해를 맞아 인천의 시가지가 한 세기를 넘기는 동안 어떻게 달라졌나
시대별로 나눠 6회에 걸쳐 시리즈로 게재한다. (1)도시의 태동(1883∼1945년)
인천의 근대 역사는 지난 1883년 제물포항 개항으로 부터 출발한다.
조·일수호조규에 의해 부산(1876년), 원산(1880년)에 이은 세번째 개항이다.
제물포항은 1882년 5월 화도진에서 서양과 처음으로 미국과 통상조약을 체결했고,
영국·독일·청나라 등으로 이어졌다. 자연스레 서양의 선진문물을 국내에 받아들이는 창구 역할을 했고,
가장 먼저 근대도시로 탈바꿈하는 계기가 됐다.
지금의 중구청 부근인 개항장 일대(15만5천평)에는 일본인 전용주거지가 맨 먼저 생겼고,
청국과 각국 공동거주지가 잇따라 설치됐다. 이 곳은 국내 최초의 서구식 도시계획지역으로 기록돼 있다.
조계약서(1884년)에 따르면 토지임대 계약 후 착공기간과 위치에 따라 토지등급을 정하고,
건축재료와 최소한의 건축비용이 명시돼 있다.
각국 조계지도(1888년)에는 가로 경계와 가구 및 획지가 구획·면적별로 나뉘어져 있다.
나라별 영사관, 세관, 감리서 등 공공청사와 도로, 공원(현 자유공원), 외국인 공동묘지, 잔교 등 도시시설도
확인 할 수 있다. 이같은 조계계획은 인천세관소속 측량기사 사바틴(A.I.Scredin Sabatin·독일)에 의해 이뤄졌다.
개항 초기 도시는 각종 서구식 도시시설이 들어서면서 형성됐다.
항만시설로는 편리한 국제여객 업무와 수출입 물량 증가에 따라 부두시설을 구축하고,
무역관세 징수를 위해 세관을 신설(1883년) 했고, 부두안에는 검역소도 뒀다.
인천·서울간 철도부설(1899년),
기상관측소(1899년),
영화초등학교(1892년),
영미담배회사(1899년),
대불호텔(1889년),
제일은행(1902년),
팔미도등대(1903년),
상수도시설(1906년),
전기회사(1906년) 등은
국내에서 최초로 설치된 근대식 도시시설 이었다.
1914년에는 각국 조계제도가 폐지되고, 일본에 의해 새로운 정부제가 시행됐다.
이때 인천 면적은 약 6.056㎢였고, 인구는 3만명선 이었다.
이후 인천의 도시계획은 일본 주도로 이뤄진다.
노·일전쟁(1904년) 이후 인천항 교역량이 증가하면서, 선박 입출항과 하역이 쉽도록
총독부는 1911년 갑문식 선거(제1도크)를 건설했다.
4천500톤급 선박 3척이 동시에 접안 할 수 있는 당시로서는 엄청난 항만시설이다.
1936년에는 행정구역이 27.123㎢로 확장되고 인구도 10만명으로 늘었다.
총독부의 ‘조선시가지계획령(1934년)’에 의해 인천시가지계획이 수립됐다.
이 계획은 1965년을 목표연도로 인구 20만명 수용과 27.588㎢의 구역면적에 주거·녹지지역과 풍치지구, 공원,
도로 및 광장을 조성토록 짜여 있다. 개발방법으로 이때 벌써 토지구획정리제도를 도입했다.
이 시가지계획은 광복 이후 1962년까지 그대로 적용 됐다. 지금까지 인천시가지 기본틀이 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백종환기자 k2@ |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