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사랑
[仁川歷史] [인천이 원조]사이다
본문
[인천이 원조]사이다 |
“인천 앞바다에 사이다가 떴어도 컵이 없으면 못 마셔요.”
이미 고인이 된 코메디언 서영춘씨가 1960년대에 크게 유행시킨 ‘사이다송’이다.
콜라와 더불어 청량음료의 쌍두마차인 사이다. 지난날 학생들이 소풍을 갈 때면 어머니가 은밀한 손길로 배낭에 넣어주던 품목이다. 김밥과 함께 ‘환상의 콤비’를 이뤄 소풍의 의미를 배가시켰고, 지금도 촌 노인들은 “사이다는 소화제”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
그 사이다가 왜 하필 인천 앞바다에 떴을까? 아직도 그 이유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지만 답은 간단하다.
|
|
사이다는 인천에서 탄생돼 앞 바다에 병이 둥둥 떠다닐 정도로 폭발적 인기를 모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사이다는 미국에서 들여와 지금까지 로열티를 지불하고 있는 콜라와는 달리 ‘신토불이형’음료수다. ‘인천부사(仁川府史)’에 따르면 1905년 히라야마 마쓰타로라는 일본인이 인천시 중구 신흥동 해광사 부근에 ‘인천탄산제조소’라는 사이다 공장을 세웠다. 이 회사는 미국식 제조기와 5마력짜리 발동기를 이용해 ‘별표(星印) 사이다’를 생산해냈다. 식혜와 수정과 정도가 음료로 여겨졌던 당시에는 사람들에게 야릇한 이름과 함께 어색하게 다가섰지만 사이다를 한번 맛본 이들은 금세 톡 쏘는 맛에 매료됐다.
시원한 음료가 없던 시절인 데다 가격까지 싸 사이다는 서민들 사이에서도 “사이다에 인이 박혀서…”라는 말이 나돌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향토사학자인 고 신태범 박사는 ‘개항 후 인천풍경’이라는 저서에서 “일본인이 싸구려 음료수를 만드는 공장을 세워 빙수밖에 없던 여름철에 시원한 마실거리를 선보였다. 병은 그대로 내놓고 3전이었다.”고 회고했다.‘병은 그대로 내놓고’는 사이다는 마시고 병은 반품했다는 뜻이다.
1916년 9월 미국에서 발행된 월간지 ‘월드 아웃록’에는 경인선 기차의 모습이 등장하는데 객차 전면에 ‘별표 사이다’ 광고가 보인다. 당시 첨단시설인 기차에 광고를 할 정도로 위세를 떨쳤다는 얘기다. 사이다는 전국으로 전파돼 회사측은 상당한 돈을 벌었다.1929년 당시 하루 생산량은 4500상자에 달했다.
사이다는 처음에 사과즙에 브랜디와 설탕을 넣어 발효시켜 알코올 성분이 1∼6%가량 들어 있었는데, 어느 시기에 오늘날과 같이 구연산과 감미료, 탄산가스 등을 원료로 하는 음료로 바뀌었다.
해방 후에는 인천탄산제조소의 후신인 (주)경인합동음료를 불하받은 손욱래씨가 ‘스타 사이다’를 만들어 인기를 이어갔다. 이 무렵 전국에는 12개의 사이다 제조업체가 있었으나 인천의 ‘스타 사이다’와 평양의 ‘금강 사이다’가 시장을 주도했다. 그러다 1950년 5월 서울에서 ‘칠성 사이다’가 출시되는 바람에 판도가 바뀌었다. 경인합동음료는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1960년대 초까지 당시 인천의 일간지 ‘인천신보’에 ‘순당, 고급음료, 뉴 스타 사이다’라는 광고를 꾸준히 내고 있었다.
특이한 것은 사이다가 ‘별표’로 시작해 ‘스타(star)’를 거쳐 ‘칠성(七星)’에 이르기까지 모두 ‘별자 돌림’이라는 점이다. 왜 그런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시원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누군가가 사이다를 컵에 따르면 기포가 톡톡 튀는 모습이 별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아니면 말고’식의 해석으로 보인다.
댓글목록 0
이상동님의 댓글
구래서 구런 노랫말이....
엄준용님의 댓글
아 항~ 재밋는 정보 감사.....^^
caonima님의 댓글
sdfsadfas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