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도시구조 개편(1980∼1989년) 1980년대 인천은 아주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경기도 인천시에서 직할시로 승격된 데다, 인천항도 개항 100주년을 맞이한다. 구월동 새 청사 시대를 열었고, 인천국제공항도 영종도로 확정지었다. 우리나라 중추도시로 성장하는 틀이 이 때 마련됐다고 보면 된다. 1981년 인천의 인구는 100만명을 돌파해 직할시로 승격된다. 이해 3월 처음으로 20년을 기본단위로 하는 도시기본계획이 수립됐다. 1982년∼2001년까지 20년을 계획기간으로 총 331.44㎢의 도시계획구역에 걸쳐 인천도시장기종합발전계획이 만들어졌다. 이 계획은 영종·용유지역의 도시계획구역 편입과 송도신도시 및 남항지구 개발계획 수립 등 다양한 도시개발사업내용을 담고 있다. 1970년대 주요 도시개발사업이었던 토지구획정리사업은 80년대 택지개발촉진법이 제정되면서 주춤하는 대신 도시개발사업이 활발해진다. 또한 동아매립지(현 청라지구)가 이 당시 완료됐고, 남동공단도 조성된다. 구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는 인천 주택건설의 패턴을 단독주택에서 공동주택으로 바꾸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총 355만여㎡의 구월지구는 구획정리사업지구중 규모가 가장 컸다. 따라서 1984년 최초로 수립된 인천도시기본계획에도 이 내용이 중점 포함된다. 70년대 후반까지 택지개발은 구획정리사업에 크게 의존했다. 하지만 이 사업은 도시계획구역내 개발가능지 고갈과 투기우려, 개발이익 환수장치 미흡, 사업기간 장기화, 공공시설 확보의 어려움, 난개발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했다. 인천의 택지개발은 80년대 부개지구를 포함해 총 12개 지구가 예정지구로 지정됐으나 11개 지구만 사업이 진행됐다. 선학과 만수3지구의 택지개발사업은 1989년 출범한 인천시공영개발사업단의 첫 수행사업이었다. 당시 택지개발규모가 가장 컸던 구월지구와 연수지구는 인천 도시구조 개편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인천의 도시재개발기본계획이 수립된 것은 1982년 2월이었다. 당시 계획수립을 위해 조사된 불량주택지구 재개발대상지역은 총 21곳에 달했다. 이중 화수·송림·송현·숭의·도원·학익 등 6개 지역은 재개발기본계획이 수립됐고, 이 가운데 송현3동만 재개발사업이 이뤄졌다. 80년대 들어서면서 민간개척사업은 기업참여 형태로 바뀌었다. 이 시기 주요 매립지는 경서동 일대 동아매립지와 환경관리공단의 쓰레기매립장, 남동염전이었던 남동국가공단 등이었다. 이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동아매립지는 쌀의 자립화와 중동지역 건설장비 활용을 위한 계획에서 출발했다. 농림수산부로부터 1980년 매립면허를 받은 동아건설이 같은 해 6월 착공해 1989년 준공했다. 전체 매립면적은 3천724만3천㎡(1천126만6천평)에 달했으나, 수도권쓰레기매립장으로 2천75만㎡를 환경부에 양도해, 전체 면적의 55.7%가 쓰레기용지로 전환됐다. 1981년 12월에는 의료시설 확충을 목적으로 남구 주안동에 인제의대부속종합병원을 유치키로 하고, 도시계획 시설 및 사업시행허가 공고까지 나갔다. 그러나 보건사회부에 의해 인천시내 전역이 의료기관개설허가제한지역으로 묶이는 바람에 유치가 무산되는 해프닝도 있었다. /백종환기자 ▲<사진설명>-①총">k2@incheontimes.com
|
댓글목록 0